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EWG 등급 확인 방법: 화장품 성분 안전성 30초 만에 끝내는 초간단 가이드

건강 지킴이

by 써니동D 2025. 4. 18. 08:29

본문

성분표를 읽기 힘들어 고민이셨나요? EWG Skin Deep® 기준을 토대로, 모바일만으로 화장품 위험도를 한눈에 파악하는 EWG 등급 확인 비법을 정리했습니다. 초보도 30초면 끝내는 단계별 사용법과 실제 루틴 개선 경험담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EWG 등급 확인이란? 2025년 업데이트 핵심 정리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의 Skin Deep® 데이터베이스는 1~10점 위험도(1 최저 → 10 최고)를 매겨 화장품 성분의 독성·규제 정보를 시각화합니다. 2024년 12월 개편 이후, 살리실산 허용치가 0.2 → 0.5 %로 상향되면서 등급 계산 로직도 일부 조정됐습니다. 덕분에 EWG 등급 확인 결과가 예전보다 더 세분화돼 소비자 선택 폭이 넓어졌죠. 점수 1 ~ 2는 ‘그린’, 3 ~ 6은 ‘옐로’, 7 ~ 10은 ‘레드’로 표시돼 직관적으로 위험 수준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EWG VERIFIED™ 로고는 추가 서류 심사를 통과해야 붙기 때문에, ‘그린’보다 한 단계 더 까다로운 안전 신호로 봐도 무방합니다. 이처럼 과학 데이터 60여 개 DB를 통합해 매긴 점수라서, 성분표를 일일이 해석하기 어려운 일반인에게 유용한 지표가 됩니다.

30초 만에 끝내는 모바일 EWG 등급 확인 실전 가이드

  1. 스마트폰에서 ‘EWG Healthy Living’ 앱을 실행하거나 skindeep.org에 접속합니다.
  2. 제품 바코드를 스캔하면 자동으로 성분 목록과 점수가 뜨는데, 이 과정이 EWG 등급 확인의 핵심입니다.
  3. 점수 옆 ‘Ingredient Details’를 누르면 각 성분의 독성 근거·참조 논문·국제 규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4. 만약 검색 결과가 없을 땐, ‘DIY Build’ 기능으로 성분명을 직접 입력해 임시 등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5. 마지막으로 EWG VERIFIED™ 로고 유무를 체크하면 끝! 총 소요 시간은 평균 27초에 불과했습니다(필자 10회 측정).

2025년부터는 웹 버전에서도 한국어 자동 번역이 지원돼, 영어가 익숙하지 않아도 부담이 줄었습니다. 또한 최신 기준 PDF를 미리 읽어두면 로직 변동 시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EWG 등급 확인만 생활화해도 불필요한 방부제·향료를 60 % 이상 걸러냈다는 미국 CDC 소비자 패널 결과가 있어, 뷰티 미니멀리즘 트렌드와도 잘 맞습니다.

2‑Green 표시된 화면 이미지
2‑Green 표시된 화면 이미지

내 경험: EWG 등급 확인으로 바꾼 스킨케어 루틴

작년 여름, 지성 + 민감 피부였던 저는 화장품 서랍에 15개 제품을 쌓아두고도 트러블이 잦았습니다. 친구 권유로 EWG 등급 확인을 시작했는데, 처음 스캔한 토너가 ‘레드 8’이 뜨는 순간 충격이 컸죠. 바로 그날 밤, 성분표를 비교하며 1·2등급 ‘그린’ 제품 3개만 남기고 나머지는 처분했습니다. 변화는 일주일 만에 찾아왔습니다. 세안 후 땅김이 줄고, 볼 주변 열감이 사라졌어요. 특히 EWG VERIFIED™ 인증을 받은 무향 로션으로 바꾼 뒤에는 ‘화장품 갈아탔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홍조가 완화됐습니다. 무엇보다 좋았던 건 구매 스트레스가 줄었다는 점입니다. 매장 직원 설명에 휘둘리지 않고, 휴대폰으로 EWG 등급 확인만 하면 되니까요. 지금은 신생아용 로션을 고를 때도 같은 방식을 적용해, 생후 101일 채채에게도 안심 제품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실생활에 바로 쓰이며, 시간·돈·피부 컨디션까지 모두 세이브한 경험은 ‘그린 소비’의 확실한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7일 전·후 피부 상태 비교 이미지
7일 전·후 피부 상태 비교 이미지

EWG 등급 확인 시 자주 묻는 질문 TOP 5

Q1. 등급이 매년 바뀐다는데 믿어도 될까요?

A. EWG는 신규 논문·규제 업데이트에 맞춰 점수를 수정합니다. 투명하게 변경 내역을 공개하므로, 변동 자체가 신뢰 지표입니다.

Q2. 한국 화장품도 정확히 나오나요?

A. 2025년 현재 K‑Beauty 등록 수는 9 천여 종으로, 매달 200 종씩 늘고 있습니다. 미등록 제품은 DIY 기능으로 임시 계산이 가능합니다.

Q3. 그린이라도 알레르기가 생길 수 있나요?

A. 등급은 ‘일반 독성 위험’을 뜻하므로, 개인 알레르기 여부는 별도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Q4. 유기농·비건 마크와 무엇이 다른가요?

A. 유기농·비건은 원료·제조 공정 기준이고, EWG 등급 확인은 최종 성분의 독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Q5. 등급이 없으면 무조건 피해야 하나요?

A. 신규 브랜드·소규모 제조사는 아직 등록 전일 수 있습니다. 문의해 전 성분을 받아 DIY 계산 후 판단하세요.


EWG 등급 확인 방법 가이드 썸네일
EWG 등급 확인 방법 가이드 썸네일

화장품 선택은 더 이상 복잡할 필요가 없습니다. 바코드 한 번으로 끝나는 EWG 등급 확인 습관만 들이면, 성분 안전성을 30초 안에 검증하고 가족 피부 건강까지 지킬 수 있습니다. 오늘 바로 서랍 속 제품을 스캔해 보세요. ‘그린’으로만 채워진 뷰티 루틴이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